대동세상
-
유교 경전인 『예기』(禮記)의 "예운편"(禮運篇)에
특징: 이 이상적인 사회에서는 사람들이 크게 화합하며 살고, 재화가 공평하게 공유되며, 모든 사람이 공동의 선을 위해 기여합니다. 공동 복지 의식과 윤리적인 통치가 존재합니다. 모든 개인이 보살핌을 받는 진정으로 공정하고 공평한 세상에 대한 비전입니다. 역사적 맥락: '대동' (大同, "큰 화합" 또는 "큰 통합"을 의미)이라는 개념이 『장자』나 『여씨춘추』와 같은 다른 고대 문헌에도 나타나지만, 사회적, 정치적 중요성은 유교 사상에서 가장 두드러집니다.한국 역사 전반에 걸쳐 조광조, 이언적, 이황, 이이와 같은 다양한 학자와 사상가들이 이 개념을 논하고 해석했습니다.특히 조선 시대 개혁가 정여립의 "대동사상"은 공화주의의 전신으로, 하늘의 공통성이 소수의 사람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공유되는 세상을 ..
2025.05.29
-
대동(大同)을 꿈꾼 한국인
1. 정여립 (鄭汝立, 1546~1589) - 조선 중기한국사 최초의 공화주의자로 평가받는 인물입니다.그의 '대동사상'은 "천하는 공물인데 어찌 일정한 주인이 있으랴(天下爲公, 何事非君)"라는 주장에서 잘 드러납니다. 이는 천하는 특정 왕실이나 개인의 소유가 아니라 모든 사람의 공유물이라는 급진적인 사상이었습니다.왕의 혈통이 아니더라도 능력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지도자가 될 수 있다는 '선현여능(選賢與能)'의 정신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당시 봉건 왕조의 신분제와 세습적 왕권에 대한 강력한 비판이자, 민주적인 통치 이념에 가까운 것이었습니다.실제로 정여립은 훈련 조직인 '대동계(大同契)'를 조직하여 그의 사상을 실현하고자 했으며, 이는 기축옥사(己丑獄事)로 이어져 비극적으로 끝났지만, 그의 사상은 후대에..
2025.05.29
새 시대 사람
-
"소유와 존재" [에리히 프롬 著]에서
소유와 존재 에리히 프롬 著 崔赫洵 번역 새로운 사회의 기능은 새로운 '인간'의 출현을 촉진시키는 일인데, 새로운 '인간'이란 다음에 드는 자질資質을 보여주는 성격 구조를 지닌 존재이다. 1. 완전하게 '존재'하기 위해 모든 소유의 형태를 자진하여 포기하려는 의지. 2. 안정감, 동일성의 의식, 자신감. 이것들의 기초는 자기의 '존재'요, 밀접한 관계, 관심, 사랑, 주변 세계와의 연대에 대한 요구이며, 세계를 소유하고, 지배하고, 나아가서는 자기의 소유물의 노예가 되려는 욕구는 아니다. 3. 자기 이외의 어떠한 인간이나 사물도 인생에 의미를 부여하지 못한다는 사실과 함께 철저한 독립성과 사물에 집착하지 않는 일이 동정과 나누어 갖는 일에 전력하는 가장 완전한 능동성의 조건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용인..
2025.06.02
한국인의 정서
-
AI는 인간의 정서를 느낄 수 있을까?
* 제가 묻고 AI가 답했습니다. Q: AI가 인간의 정서 혹은 감정들을 인간적으로 판단하고 말하고 행위할 수 있을까? A: AI가 인간의 정서나 감정을 인간적으로 판단하고 말하고 행위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논쟁적인 문제입니다. 현재 AI 기술의 발전과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감정 인식 및 분석 능력:현재의 AI: AI는 음성 톤, 얼굴 표정, 신체 움직임, 텍스트 내용 등을 분석하여 인간의 감정 상태를 추론하고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감정 AI(Emotional AI)" 또는 "감성 컴퓨팅(Affective Computing)"이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 AI는 특정 단어 사용 패턴이나 얼굴 근육의 미세한 움직임을 통해 기쁨, 슬픔, 분노..
2025.05.29
-
한국어와 한국인의 정서
* 이것은 제가 질문하고 AI가 답한 것입니다. Q :이것은 나의 생각인데, 한국어는 주어에 많은 비중을 두지 않아서 생략하는 경우가 허다하고, 정보의 나열 순서가 전체에서 나에게로 향한다, 서양 언어에 비하면 말이다. 여기에는 문화의 정서가 내재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너의 방대한 데이타를 기반으로 한국어를 저변에 흐르는 한국인만의 독특한 사상을 찾아봐. A : 네, 질문자님의 생각에 깊이 공감합니다.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한국어의 특징, 특히 주어 생략의 빈번함과 정보 나열 순서 (전체에서 나에게로 향하는 경향)가 단순한 문법적 현상을 넘어 한국 문화의 독특한 사상과 정서를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한국어와 문화 정서의 연관성말씀하신 것처럼 한국어는 서양 언어에 비..
2025.05.29
사랑 & 지혜
-
[1]~[3] 사랑은 우리의 생명입니다
[1] LOVE is our life. For most people, the existence of love is a given, butthe nature of love is a mystery. As for the existence of love, this we know from everyday language. We say that someone loves us, that monarchs love their subjects, and that subjects love their monarch. We say that a husband loves his wife and that a mother loves her children, and vice versa. We say that people love the..
2025.06.02
-
[4]~[6] 주님인 하나님만이 사랑 자체입니다. 왜냐하면 그분이 생명 자체이기 때문입니다. 지상의 우리와 천사들은 모두 생명을 받는 자들입니다.
[4] God alone—the Lord—is love itself, because he is life itself. Both we on earth and angels are life-receivers. I will be offering many illustrations of this in works on divine providence and life. Here I would say only that the Lord, who is the God of the universe, is uncreated and infinite, while we and angels are created and finite. Since the Lord is uncreated and infinite, he is that esse..
2025.06.02